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투자 철학은 생존이다(나는 이기는 매매를 하는가?)

by 돈마루 2023. 7. 28.

"당신은 왜 주식 투자를 통해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당신은 왜 자신이 직접 투자를 하면 주가지수 평균 수익률을 상회하는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내가 초과 수익을 낼 마땅한 근거가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기를 바란다.

1. 투자철학은 생존의 문제이다

 

 

투자와 트레이딩 세계에 입문했다면

최소 2~3년은 여러 방식과 전략을 경험하면서 자신의 투자철학을 확립해 나가야 한다. 

 

무슨 2~3년 이냐고 할 수 있지만, 경제적 자유를 위한 요소 중에 실력과 시간을 무시한다면, 

리스크를 높이는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가이드나 멘토가 없는 개인 투자자에게는 투자철학과 투자 전략을 탐색하는 시간이 더욱더 중요하다.

이런 자각 없이 중구난방으로 투자하는 것과는 장기적으로 어마어마한 차이를 낼 것이다.

 

 

2. 투자철학이 있는가?

 

앞의 질문은 투자철학에 관한 것이다.

이 질문에 명확하게 대답할수 없다면 투자철학이 없는 것이다.

 

투자 철학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수익을 내는 것은 아니지만 

투자철학이 없으면 반드시 손실을 경험하게 된다.

 

 

3. 투자철학이란?

 

가치평가의 세계적인 석학 뉴욕대 애스워드 다모다란 교수는 투자철학을

'시장의 작동 원리와 투자자의 실수를 바라보는 일관된 사고방식'이라고 정의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주식시장의 초과 수익은 결국 시장 참여자의 실수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이이다.

 

(예)

세명의 투자자 A,B,C가 있다고 해보자.

시장 평균 수익률이 10% 라고 가정하자.

 

A가 16%의 수익률을 냈다면

B와 C는 시장 평균을 하회하는 수익을 냈거나 손실을 냈을 것이다.

 

이렇듯 누군가가 시장 평균을 상회하면 누군가는 시장 평균을 하회해야 하는 것은 

'평균'의 정의에 내재한 진리다.

 

 

4. 다모다란 교수가 말하는 투자철학

실수를 바라보는 일관된 사고방식

 

모든 가치투자자의 꿈은  적정 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다.

적정가치가 10만원인 주식을 누군가가 8만 원에 샀다고 해보자.

 

그가 8만원에 산 주식은 누군가가 판 것이다.

나중에 그 주식 가격이 올라서 15만 원에 팔았다고 해보자.

 

매도주문이 체결되기 위해서는 고평가된 가격인 15만 원에 주식을 사는 실수를 해야만 한다.

다모다란 교수가 말하는 투자철학이  바로 그런 실수를 바라보는 일관된 사고방삭을 뜻한다.

 

'어떻게 해야 다른 사람의 실수를 나의 수익으로 만들 수 있는지'가 투자 전략이다.

투자전략은 이런 투자철학에서 파생된 기법이다. 

 

5. 매매 상대의 입장에 서서 생각하기

 

그 투자 방식의 바다에서 자신의 투자 철학과 투자 전략을 제대로 확립하지 않으면 

어떻게 초과 수익을 낼수 있는지 알지도 못한 채 운의 흐름에 계좌를 맡기게 된다.

 

상승장에서 주식을 잘한다는 착각에 빠지지만 초과수익을 유지하는 법을 모르기 때문에

시장환경이 변화하면 금방 초과 손실을 내고 만다.

 

당신이 저평가된 주식을 사려면 다른 누군가는 저평가된 상태로 파는 실수를 해야 한다.

주식을 사기전에 과연 초과 수익, 초과 손실을 내는 쪽은 누구일까? 자신에게 물어봐야 한다. 

 

나와 상대중 누가 옳은 선택을 하는지는

누가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느냐, 

누가 더 깊게 분석해 탄탄한 논리를 가지고 있느냐에 달렸다.

 

 

6. 가치투자의 투자철학은?

 

가치투자의 토대가 되는 투자철학은

시장의 참여자가 특정 주식의 가치를 제대로 산정하지 못하는 실수를 한다는 것이다. 

 

가치투자에서 적정 가치를 계산하는 방법

상대가치평가 내재가치평가
PER, PBR 등의 배수를 이용 현금흐름 할인 모형으로 해당 기업의 미래 수익을 추정
적정 가치를 계산 하려는 기업과 비슷한 기업의 PER등을 고려해 저평가 여부를 결정 특정기업의 미래 현금흐름을 현재 가치로 할인해 계산하는 방식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매수
시장의 여러 종목을 평균적으로 보았을때는 가격이 효율적으로 책정되지만, 개별 종목 레벨에서는 때때로 가격이 잘못 책정 된다는 투자철학이 있다. 시장의 가격은 장기적으로 적정 가치에 수렴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실수한다라는 투자철학이 깔려 있다.
단기적으로 저평가된 기업을 찾아 매수하면 장기적으로 적정가치에 수렴하면서 수익을 올릴수 있다.

 

세상에 잘 알려진 투자 방식은 가치투자, 모멘텀 투자, 차트 매매 등 몇 가지뿐이지만

사실 시장 참여자가 하는 실수만큼 다양한 투자 방식이 존재한다.

 

 

7. 투자철학을 분류하는 방법

 

투자철학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크게 보면

시점 선택 철학 '언제 사고 언제 팔아야 하는가'  단기 트레이딩
종목 선택 철학 '어떤 종목을 사고 팔아야 하는가' 중장기 투자

이렇게 나눌 수 있지만, 칼로 무 자르듯 나눌 수는 없다.

 


월가에서 명문대를 나온 수재들도 3년 안에 3분의 일만 살아남는다고 한다.

투자는 수익을 내느냐, 손실을 보느냐의 문제다.

 

투자에서 성공할 수 있다면  2~3년을 투자해 투자철학을 확립해 가면서 투자를 배워 나가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은 있다.

 

시장에서 직접 경험하는 것만큼 효과적이지는 않지만

성공한 트레이더와 투자자의 투자철학과 매매기법을 심층 해부한다면 큰 도움이 된다.

 

어차피 재테크는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에 계속 해야 하는 일이니 조급 하지 말아야 합니다.

저두 몇년째 책을 통해 배우며 투자를 하고 있지만 여전히 어려운것이 사실이고 길게 보려 합니다.

 

 

<제2라운드 투자 수업>

최한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