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을 구입하면서 대출받으려고 할 때 LTV, DTI와 DSR 규제를 받습니다.
LTV, DTI와 DSR 세가지 용어의 뜻과 어떤 점이 서로 다른지를 비교하며 알아보고자 합니다.
DSR 뜻
Debt Service Ratio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의 소득 대비 전체 금융 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연간 총부채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 소득으로 나눠 산출한다.
DTI, DSR과 LTV 차이점
담보대출에 대한 대출 한도를 정하는 지표로서 DTI와 DSR은 연간소득을 기준으로 하고 LTV는 담보가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차이입니다.
DTI 뜻
DTI 는 Debt To Income 총부채상환비율을 의미합니다.
- 대출받는 사람의 연간 소득대비 주택담보대출의 연간 원리금상환액과 기타 부채의 연간 상환 이자액이 차지하는 비율
- DTI는 대출받는 차주가 갚아야 하는 주택담보대출의 연간 원리금과 그 외 부채의 이자 상환액을 합쳐서 대출자의 소득 대비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DTI와 DSR 의 차이
○ DTI (총부채상환비율)는 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에 신용대출등 다른 대출의 이자를 더한 금융부채로 대출한도를 계산합니다.
DTI =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이자 상환액) / 연소득
○ DSR은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뿐 아니라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학자금 대출, 카드론, 마이너스통장 등 모든 대출의 원금과 이자를 더한 원리금 상환액으로 대출 상환 능력을 따져봅니다.
DSR =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원리금 상환액) / 연소득
※ DSR을 도입하면 연소득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금융부채가 커지기 때문에 대출한도가 대폭 줄어듭니다.
※ 대출받을 때 이 DSR을 적용하지 않는 대출은 디딤돌대출, 보금자리론, 전세대출 등 정책 모기지 상품입니다.
DTI 규제 적용
- 투기지역과 투기 과열 지구에서는 40%
- 조정대상 지역 50%
- 그외 수도권에는 60%
-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규제지역 관계없이 60%
- 무주택자 디딤돌대출 60%
DTI 적용 (예시)
대출자 (차주)의 연소득이 5000만 원이고 연간 주담대 원리금과 기타 대출의 이자 상환액을 합한 값이 3000만 원일 경우 DTI 비율은 60%입니다.
3000 / 5000 = 0.6
LTV란 무엇인가? LTV계산
Loan To Value ratio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담보인정비율을 의미합니다.
-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입니다.
LTV = 대출금액 / 부동산 가격 × 100
LTV는 한번 다루었기에 여기서는 개념만 짚고 갑니다.
LTV와 DTI 차이
※ LTV는 집값 대비 대출한도를 규제합니다.
DTI는 집값과 무관하게 대출받는 사람의 소득에 따라 대출한도를 정합니다.
대출을 알아보기 전에 미리 알고 가면 대출 상담 시에 나의 대출 한도가 대략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습니다.
한편, 내가 생각한 것보다 세가지 규제를 적용하면 금액이 훨씬 적어질 수 있다는 것도 염두해두어야 합니다.
※ 위의 아이콘을 누르시면 대한민국의 정책을 알아볼 수 있고 도움이 되는 많은 정보가 실려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