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비트코인 반감기에 대해서
2. 비트코인 반감기 날짜와 가격변화
비트코인 반감기는 약 4년마다 발생하는 미리 결정된 이벤트입니다.
새로운 비트코인의 발행을 제어하고, 암호화폐의 희소성과 예측 가능성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중요한 메커니즘입니다.
1. 비트코인 반감기에 대해서
1. 공급제어
비트코인의 공급한도는 2100만 개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마음대로 인쇄하거나 발행할 수 있는 명목화폐와 달리 그 숫자가 정해져 있습니다.
반감기 이벤트는 새로운 비트코인이 생성되고 유통되는 속도를 제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2. 블록보상
채굴자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들은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네트워크를 보호하며, 블록체인에 새 블록을 추가합니다. 그들의 노력에 대한 보상으로 채굴자들은 새로 발행된 비트코인을 받습니다.
처음 비트코인이 출시되었을 때 블록보상은 블록당 50 비트코인으로 설정되었습니다.
3. 반감기 일정
반감기는 약 4년마다, 특히 210000개의 블록이 채굴된 후에 발생합니다.
약 4년마다 블록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이 이벤트를 반감기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2012년, 2016년, 2020년 세 차례 반감기가 있었습니다.
다음 반감기는 2024년 경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블록 보상 감소
반감기 이벤트동안 블록 보상은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채굴자가 성공적으로 채굴한 각 블록에 대해 비트코인 수의 절반을 받습니다.
첫 번째 반감은 블록 보상을 25 비트 코인으로, 두 번째 반감은 12.5비트 코인으로,
세 번째 반감은 6.25비트 코인으로 줄었습니다.
5. 희소성과 가치
반감기는 비트코인의 공급과 희소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코인 발행 비율을 줄임으로써 새로 발행되는 비트코인의 공급을 줄입니다.
비트코인의 희소성이 높아질수록 가치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비트코인 반감기 이벤트는 역사적으로 시장의 관심 및 변동성 증가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많은 투자자와 분석가들은 반감기가 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의 가치상승에
기여한다고 봅니다.
비트코인의 가격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반감기는 그중 한 요인에
불과하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2. 비트코인 반감기 이후 비트코인의 가격변화
다음은 이전 비트코인 반감기에서 관찰된 비트코인 가격의 변화입니다.
1. 첫 번째 반감기, 2012년
첫 번째 비트코인 반감기는 2012년 11월 28일에 일어났습니다.
반감기에 앞서 비트코인 가격은 점진적으로 상승했습니다.
반감 후 가격은 처음에는 약간의 변동성을 보였지만 궁극적으로는 장기적인 상승추세에 진입했습니다.
다음 해에 가격은 약 12$에서 1100$ 이상으로 크게 급등했습니다.
2. 두 번째 반감기, 2016년
두 번째 비트코인 반감기는 2016년 7월 9일에 발생했습니다.
반감기에 이르기까지 가격은 눈에 띄게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반감 후 가격이 약간의 변동성을 보이는 것 같았지만 결국엔 강력한 강세장으로 진입했습니다.
2017년 말 가격은 20000$에 가까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3. 세 번째 반감기, 2020년
가장 최근의 비트코인 반감기는 2020년 5월 11일에 일어났습니다.
이전 반감기와 유사하게 비트코인은 상당한 반등을 했습니다.
반감 후 가격은 약간의 변동성을 보였지만 이후 몇 달 동안 계속 상승했습니다.
2021년에 가격은 64000$가 넘는 새로운 사상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4. 네 번째 반감기, 2024년
다음 반감기는 2024년 5월경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감기가 되면 채굴자에 대한 블록 보상은 현재 블록당 6.25 비트코인에서 블록당 3.125 비트코인으로 감소합니다.
비트코인의 수요 증가와 함께 이러한 반감기의 공급감소는 상당한 가격 변동을 가져왔습니다.
2024년에도 가격변동이 예상되지만 개인적으로 장기적인 관점은 우상향 할 거라고 봅니다.
비트코인 반감기 이후 비트코인의 가격 변화는 발생시마다 다양하며, 특정가격 움직임을 예측하거나
일반화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과거실적이 앞으로의 결과를 보장하지 않으며 암호화폐 시장은 변동성이 크고,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반감기 이후 역사적인 가격 상승이 있었지만 시장 수요, 투자정서, 규제, 거시경제상황등 가격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점이 다양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투자에 신중해야 합니다.